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어 한글 맞춤법 3장 3절 7항 소리에 관한 것, ㄷ소리 받침

by 끝없는 발견의 세계 2024. 1. 15.
반응형

한국어 한글 맞춤법 3장 3절 7항 소리에 관한 것, ㄷ소리 받침
한국어 한글 맞춤법 3장 3절 7항 소리에 관한 것, ㄷ소리 받침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이란

 

한국어에서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은 특정 조건 하에서 'ㄷ, ㅅ, ㅆ, ㅈ, ㅊ, ㅌ, ㅎ' 등이 [ㄷ]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나타납니다.

 

형태소가 없을 때: 예를 들어, '밭'은 [받]으로, '빚'은 [빋]으로, '꽃'은 [꼳]으로 발음됩니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뒤에 올 때: '밭과'는 [받꽈]로, '젖다'는 [젇따]로, '꽃병'은 [꼳뼝]으로 발음됩니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뒤에 올 때: 예를 들어, '젖어미'는 [저더미]로 발음됩니다.

 

 

 

 'ㄷ'으로 적는 경우

 

 

이러한 규칙에 따라, 'ㄷ'으로 적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래 'ㄷ' 받침을 가지는 경우: '맏이[마지]', '낟[낟ː]'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본말에서 준말이 되어 'ㄷ' 받침을 갖게 된 경우: '돋보다(←도두보다)', '딛다(←디디다)', '얻다가(←어디에다가)' 등이 이에 속합니다.

'ㄹ' 소리와 연관되어 'ㄷ'으로 발음되는 경우: 예를 들어, '반짇고리', '사흗날', '숟가락', '이튿날' 등이 이 경우입니다.

 

 

 

'ㄷ'으로 적을 명확한 이유가 없는 경우  'ㅅ'으로 적는다

 

 

반면, 'ㄷ'으로 적을 명확한 이유가 없는 경우에는 'ㅅ'으로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걸핏하면', '그까짓', '기껏', '놋그릇', '덧셈', '빗장', '삿대', '숫접다', '자칫', '짓밟다', '풋고추', '햇곡식'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들은 특정 근거 없이 전통적으로 'ㅅ'으로 적는 단어들입니다.

요약하면, 한국어에서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은 특정 조건에서 여러 종류의 종성이 [ㄷ]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형태소의 유무, 뒤따르는 형태소의 종류, 그리고 특정한 역사적 또는 언어학적 변화에 따라 달라집니다. 'ㄷ'으로 적는 경우와 'ㅅ'으로 적는 경우는 한글 맞춤법 및 전통적인 사용에 근거하여 정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