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법칙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 ㄴ | ㄱ | ㄴ |
여자(女子) | 녀자 | 유대(紐帶) | 뉴대 |
연세(年歲) | 년세 | 이토(泥土) | 니토 |
요소(尿素) | 뇨소 | 익명(匿名) | 닉명 |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 냥(兩)
- 냥쭝(兩-)
- 년(年)(몇 년)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남녀(男女)
- 당뇨(糖尿)
- 결뉴(結紐)
- 은닉(隱匿)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신여성(新女性)
- 공염불(空念佛)
- 남존여비(男尊女卑)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 한국여자대학
- 대한요소비료회사
제10항~제12항은 국어의 두음 법칙을 소개하고 있어요.
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출현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특히, ‘녀, 뇨, 뉴, 니’를 포함한 한자어 음절이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ㄴ’이 나타나지 못하고, ‘여, 요, 유, 이’의 형태로 실현됩니다. 이 조항에서는 두음 법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연도(年度) | 여 | 열반(涅槃) | 요 |
요도(尿道) | 유 | 이승(尼僧) | 이 |
이공(泥工) | 이 | 익사(溺死) | 유 |
두음 법칙의 예외: 의존 명사
한자어 음절이 ‘녀, 뇨, 뉴, 니’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의존 명사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의존 명사가 독립적으로 쓰이지 않고, 앞의 말과 연결되어 하나의 단위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년 | 십 년 |
냥 | 한 냥 |
냥쭝 | 두 냥쭝 |
따라서 ‘년, 냥, 냥쭝’ 등과 같은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쓰지만, 앞말과 함께 하나의 단위로 사용되므로 단어의 첫머리에도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명사와 의존 명사의 차이
‘年’, ‘年度’처럼 한자어가 의존 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명사로 쓰이기도 하는 경우, 두음 법칙의 적용 여부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년, 년도’는 의존 명사로 쓰이며, ‘연, 연도’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연 강수량 | 명사 |
일 년 | 의존 명사 |
생산 연도 | 명사 |
2018 년도 | 의존 명사 |
두음 법칙의 붙임 규정
[붙임 1]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음대로 표기합니다.
소녀(少女) | 소녀 |
만년(晩年) | 만년 |
배뇨(排尿) | 배뇨 |
비구니(比丘尼) | 비구니 |
운니(雲泥) | 운니 |
탐닉(耽溺) | 탐닉 |
[붙임 2] ‘신-여성, 구-여성, 공-염불’은 이미 두음 법칙이 적용된 자립적인 명사인 ‘여성, 염불’에 접두사 ‘신-, 구-, 공-’이 결합한 구조입니다. 그러므로 ‘신여성, 구여성, 공염불’로 표기합니다. 접두사로 쓰이는 한자는 자립 명사와 결합했을 때 두음 법칙이 적용됩니다.
- 예시: 신여성, 구여성, 공염불
- 그러나 ‘신년도, 구년도’는 발음상 [신년도], [구ː년도]이며, ‘신년-도, 구년-도’와 같은 구조로 분석되므로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쓸 경우, 결합된 각 단어를 두음 법칙에 따라 적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여자 농구 연맹’을 붙여 쓰면 ‘한국여자농구연맹’이 됩니다.
두음 법칙의 적용과 차이점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연도’와 적용되지 않는 ‘년도’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도(年度) | 명사: 사무나 회계 결산 등을 처리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한 일 년 동안의 기간. 졸업 연도, 제작 연도 |
년도(年度) | 의존 명사: 해를 뜻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 1985년도 출생자, 1990년도 예산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