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 한국어 한글 맞춤법 1장 3항 총칙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기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1장 총칙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말이므로 원어의 언어적인 특징을 고려해서 적어야 한다. 따라서 ‘외래어 표기법’을 정하여 그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이다. 외래어는 고유어, 한자어와 함께 국어의 어휘 체계에 정착한 어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설 내용 부분이 나오고 있어요. 이 부분을 부연 설명해 볼게요.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단어다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단어를 말합니다. 이들은 한국어로 번역되거나 표현되기 전에 다른 언어권에서 이미 존재하고 사용되는 단어들이에요. 외래어 한국어 표기 시 그 원.. 2023. 12. 8. 한국어 한글 맞춤법 1장 2항 총칙 문장의 각 단어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1장 총칙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국어에서 단어를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는 것은 단어가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최소 단위이기 때문이다. ‘동생 밥 먹는다’에서 ‘동생’, ‘밥’, ‘먹는다’는 각각이 단어이므로 띄어쓰기의 단위가 되어 ‘동생 밥 먹는다’로 띄어 쓴다. 그런데 단어 가운데 조사는 독립성이 없어서 다른 단어와는 달리 앞말에 붙여 쓴다. ‘동생이 밥을 먹는다’에서 ‘이’, ‘을’은 조사이므로 ‘동생이’, ‘밥을’과 같이 언제나 앞말에 붙여 쓴다. 이러한 해설 내용 부분이 나오는데요.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볼게요. 문장의 독립.. 2023. 12. 7. 한국어 한글 맞춤법 1장 1항 총칙 표준어 발음대로 적기, 어법에 맞도록 적기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1장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 맞춤법의 두 가지 기본 원칙이 있어요.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 이 원칙은 표준어를 발음대로 적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나무"가 발음되는 대로 '나무'로 적고, "달리다"가 발음되는 대로 '달리다'로 적습니다. 어법에 맞도록 적는다 이 원칙은 어떤 단어가 다양한 발음으로 나타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일정한 형태로 적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꽃'이라는 단어는 발음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될 수 있지만, 의미의 명확성을 위.. 2023. 12. 7. 한국어 교원 자격증 취득방법 로드맵 한 방에 정리 여러분께서는 한국어에 대한 열정을 가진 분일 수 있습니다. 아마도 한국 문화와 언어에 매료되어 한국어를 배우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 분도 있으시죠? 또는 한국에서의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어를 가르치고자 하는 외국인이실 수도 있고, 다문화 가정의 일원으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 관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어쩌면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경력을 쌓고자 하는 대학생이나 졸업생일 수도 있습니다. 한국어 교육의 세계에서 전문가로 거듭나고자 하는 여러분을 위해 '한국어 교원 자격증 취득 방법'에 대해 준비해 봤어요. 여기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증 취득의 모든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고, 이 길을 걷고자 하는 여러분이 직면할 수 있는 도전과 기회들에 대해 공감하며 안내해드리고.. 2023. 11. 3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