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1장 총칙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국어에서 단어를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는 것은 단어가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최소 단위이기 때문이다.
‘동생 밥 먹는다’에서 ‘동생’, ‘밥’, ‘먹는다’는 각각이 단어이므로 띄어쓰기의 단위가 되어 ‘동생 밥 먹는다’로 띄어 쓴다.
그런데 단어 가운데 조사는 독립성이 없어서 다른 단어와는 달리 앞말에 붙여 쓴다.
‘동생이 밥을 먹는다’에서 ‘이’, ‘을’은 조사이므로 ‘동생이’, ‘밥을’과 같이 언제나 앞말에 붙여 쓴다.
이러한 해설 내용 부분이 나오는데요.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볼게요.
문장의 독립적인 각 단어는 띄어 쓴다
한국어 맞춤법의 원칙에서 제1장 총칙 제2항은 문장의 각 단어를 띄어 쓰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어요. 이러한 원칙은 한국어 문법에서 단어를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최소 단위로 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동생 밥 먹는다"라는 문장에서 "동생", "밥", "먹는다"는 각각 독립적인 단어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띄어쓰기의 단위가 되어 "동생 밥 먹는다"로 띄어 씁니다.
독립성 없는 단어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하지만, 한국어에는 '조사'라는 특별한 단어도 있습니다. 조사는 독립성이 없는 단어로, 다른 단어와는 다르게 앞말에 붙여 쓰게 됩니다. 예를 들어 "동생이 밥을 먹는다"에서 "이", "을"은 조사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항상 앞말인 "동생", "밥"에 붙여 써서 "동생이", "밥을"로 표기합니다.
이러한 규칙은 한국어에서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고, 문법적으로 올바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띄어쓰기는 단어 간의 관계와 문장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조사의 경우, 앞 단어와의 밀접한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붙여 쓰는 것이며, 이는 한국어의 고유한 문법적 특징 중 하나입니다.
한국어 한글 맞춤법 시리즈
한국어 한글 맞춤법 총칙 제1장 1항 쉽고 빠르게 정리
한국어 한글 맞춤법 총칙 제1장 3항 쉽고 빠르게 정리
한국어 한글 맞춤법 자모 제2장 4항 쉽고 빠르게 정리
한국어 한글 맞춤법 소리에 관한 것 제3장 1절 5항 쉽고 빠르게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