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2절 구개음화
제6항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 이(-)’나 ‘- 히 -’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 ㄴ | ㄱ | ㄴ |
맏이 | 마지 | 핥이다 | 할치다 |
해돋이 | 해도지 | 걷히다 | 거치다 |
굳이 | 구지 | 닫히다 | 다치다 |
같이 | 가치 | 묻히다 | 무치다 |
끝이 | 끄치 |
구개음화
구개음화는 한국어에서 특정한 환경에서 'ㄷ, ㅌ' 등의 소리가 'ㅈ, ㅊ' 등으로 발음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어떤 형태소 뒤에 다른 형태소가 결합할 때 발생합니다.
구개음화의 적용 규칙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때, 비록 발음상으로는 ‘ㅈ, ㅊ’으로 소리 날 수 있어도, 원칙적으로 ‘ㄷ, ㅌ’으로 적어야 합니다.
종속적 관계의 의미
여기서 말하는 ‘종속적 관계’는 실질 형태소(명사, 동사, 형용사 등의 기본 단위)에 형식 형태소(조사, 접미사, 어미 등이 결합하는 것)가 결합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예시 설명
"솥이[소치]": 여기서 '솥'은 실질 형태소이고, '이'는 형식 형태소(주격 조사)입니다. 발음은 '소치'지만, 표기는 '솥이'로 합니다.
"묻히다[무치다]": '묻-'는 실질 형태소이고, '-히-'는 형식 형태소(피동 접미사)이며, '-다'는 어미입니다. 발음은 '무치다'지만, 표기는 '묻히다'로 합니다.
구개음화에 관여하는 형식 형태소
구개음화에는 여러 형식 형태소가 관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는 명사 파생 접미사, 부사 파생 접미사, 주격 조사, 서술격 조사, 사동 접미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히'는 피동 접미사나 사동 접미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구개음화의 예외
형식 형태소가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곧이[고지]'에서는 구개음화가 발생하지만, '곧이어[고디어]'에서는 구개음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곧이'의 경우 부사 파생 접미사가 결합하여 구개음화가 발생하지만, '곧이어'의 경우 실질 형태소 부사가 결합한 말이므로 구개음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표준어에서의 구개음화
현재 표준어에서 구개음화는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마디, 견디다'와 같이 하나의 형태소 내부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 규칙은 한글의 발음과 표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며, 한글 맞춤법의 일부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해해야 할 중요한 부분입니다.
한국어 한글 맞춤법 시리즈
한국어 한글 맞춤법 총칙 표준어 발음대로 적기,어법에 맞도록 적기
한국어 한글 맞춤법 자모 한글 자모의 수, 순서, 이름
한국어 한글 맞춤법 소리에 관한 것 소리에 관한 것, 된소리 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