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한글 맞춤법 3장 5절 11항, 두음법칙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3장 소리에 관한 것제5절 두음법칙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규정 내용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법칙의 제11항은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 두음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리는 방식입니다. 예시 ㄱㄴㄱㄴ양심 (良心)량심용궁 (龍宮)룡궁역사 (歷史)력사유행 (流行)류행예의..
2024. 11. 28.
한국어 한글 맞춤법 3장 5절 10항, 두음법칙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3장 소리에 관한 것제5절 두음법칙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ㄴㄱㄴ여자(女子)녀자유대(紐帶)뉴대연세(年歲)년세이토(泥土)니토요소(尿素)뇨소익명(匿名)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냥(兩)냥쭝(兩-)년(年)(몇 년)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남녀(男女)당뇨(糖尿)결뉴(結紐)은닉(隱匿)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2024. 10. 12.
한국어 한글 맞춤법 3장 4절 8항, 모음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3장 소리에 관한 것제4절 모음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ㄴㄱㄴ계수(桂樹)게수혜택(惠澤)헤택사례(謝禮)사레계집게집연몌(連袂)연메핑계핑게폐품(廢品)페품계시다게시다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게송(偈頌)게시판(揭示板)휴게실(休憩室) 표기 규칙과 발음의 차이 ‘계, 례, 몌, 폐, 혜’는 일상에서 [게, 레, 메, 페, 헤]로 발음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발음의 변화와 관계없이, 이들은 여전히 ‘ㅖ’로 적습니다. 표준 발음법과 발음 허용의 오..
2024. 10. 2.
한국어 한글 맞춤법 3장 3절 7항 소리에 관한 것, ㄷ소리 받침
한글 맞춤법[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에 이러한 규정이 있습니다.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옛 첫 헛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이란 한국어에서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은 특정 조건 하에서 'ㄷ, ㅅ, ㅆ, ㅈ, ㅊ, ㅌ, ㅎ' 등이 [ㄷ]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나타납니다. 형태소가 없을 때: 예를 들어, '밭'은 [받]으로, '빚'은 [빋]으로, '꽃'은 [꼳]으로 발음됩니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뒤에 올 때..
2024. 1. 15.